전체 글63 [👣 T.I.L] 2022.11.18 (금) | 자투리 시간을 모아 나만의 시간 갖기 👣 2022.11.18 (금) 24시간 중에 과연 정말로 '나를 위한 시간'은 얼마나 될까...? 하루의 8시간 이상 일을 하고 (물론 일도 개인 역량 성장의 한 파트로 볼 수도 있지만) 대략 1시간 이상을 SNS, OTT을 통해 다른 사람의 일상을 구경하는데 시간을 소비하다보면 정작 온전히 스스로를 고찰하고 생각을 정리하는 시간이 거의 없다고 느껴졌다 이번주 일주일동안 조금은 귀찮았지만 매일 쓰던 사실을 기록하는 일기가 아닌 적어도 그 날 하루동안 내가 고민한 부분이나 관심이 있는 영역에 대해 생각을 회고할 수 있는 T.I.L 포스팅을 작성하면서 꽤 많은 것을 깨닫게 되었다. 1. 시간을 능동적으로 소비할 때, 그 시간을 온전히 내가 소유할 수 있다. OTT를 보거나, SNS를 엄지로 넘기는 1시간보다.. 2022. 11. 20. [👣 T.I.L] 2022.11.17 (목) | 인생에서 아껴야 할 것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다! 👣 2022.11.17 (목) 💡 인생에서 아껴야 할 것은, 돈이 아니라 시간이다! 슬프게도 현실에서 돈은 모두에게 공평하지도 같은 의미를 갖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시간은 누구에나 공평하게 주어지는 자원이므로 24시간의 하루를 소중히 여겨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것의 출발점은 문제를 잘 정의하는 것이다. Why의 관점에서 일을 진행해야 한다! 전체적인 일의 흐름과 의도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이후 업무를 하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준다.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스스로 정의하고 역할 밖의 범위에 대해서는 리더와 주기적인 중간 소통/보고로 생각을 맞춰가는 것이 중요하다! 흔히, 구어체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의미가 불명확할 수 있기 때문에 암묵적인 의미를 확실한 형식지로 표현하.. 2022. 11. 20. [👣 T.I.L] 2022.11.16 (수) | 당근과 채찍 중 어느 쪽이 나를 더 불타게 하는가? 완벽함보다 더 중요한 건 속도! 👣 2022.11.16 (수) 👀 당근에 힘든 기억이 미화되는 사람 당근과 채찍 중에 어느 쪽이 나의 성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질문을 듣고 꽤나 고민이 되었다..! 나의 에너지를 복돋아 줄 수 있는 당근과 단점을 빠르게 보완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채찍 그 시소의 밸런스를 고민해보면 역시 나는 '당근'에서 더 원동력을 얻는 것 같다. 일/운동/취미 등등 모든 분야에서 스스로 재미가 있어야 그것을 지속할 힘을 갖게 되는 편이어서 '당근'이라는 보상이 부스터가 되어준다. ₒ₍₊˒₃˓₎ₒ▁▂▃▅▆▓▒░✩⃛ 👀 완벽함보다 더 중요한 건 속도! 일과 시험은 접근하는 방법부터 달라야한다. 100점이라는 기준점이 없는 일은 시험처럼 '완벽함'이라는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서 완벽함을 추구하.. 2022. 11. 20. [👣 T.I.L] 2022.11.15 (화) | PM이 갖춰야할 필수 능력 👣 2022.11.15 (화) 👀 PM이 갖춰야할 필수 능력 1. 우선 순위 세우기 💡 빠른 결과물을 도출을 위해 장애 제거하기 일을 잘 한다는 것은, 최소의 노력, 시간으로 최고의 효율성을 내야한다. 먼저, 각 Task간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한 후,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유사한 것들끼리 범주화하며 꼭 필요한 부분위주로 우선순위를 세운다면 다양한 업무 속에서 허우적 거릴 이유가 없다. 각 Task에 대한 중요도 비율의 균형을 맞추고 변하지 않는 전제조건과 North Stars 리마인드하며 일의 우선순위를 고려해야 한다. 2. 집요함 유관부서에서 공유한 자료 속에서도 비약적인 논리나 Pain Point를 찾고, Risk 검토하는 것이 습관화되어야 한다. 잘 모르겠는 설명이나, 로직이 있다면 나만 모르.. 2022. 11. 16. [👣 T.I.L] 2022.11.14 (월) | 프로덕트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 있는 '기록의 힘' 👣 T.I.L - 2022.11.14 (월) 작년까지는 특정 모빌리티 서비스에 한정하여 사업기회부터 개발 ~ 런칭 ~ DevOps 한 텀을 경험한 Tehnical PM으로서 업무를 하다보니, 사용자 관점에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개발요건을 확인하고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데 포커스를 두었다.. |•'-'•)و✧ 올해 3Q부터는 영역을 더 넓혀 내년 양산되는 실제 차량에서 올라오는 실시간 차량 데이터, 분석/가공 데이터, 재원/정비 데이터를 플랫폼화하기 위해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설계하고, 최종 API 개발을 위한 인프라 아키텍처를 그리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물론 그 과정에서도 향후 고객과 닿는 FMS와 연동을 위해 서비스 요건부터 품질 요소까지 함께 고려해야하고, 개인정보/위치정보와.. 2022. 11. 15. [책 리뷰] 문샷 (극한상황에서 더 크게 도약하는 로켓과학자의 9가지 생각법) | 9장. 성공이 곧 실패다: 성공이 큰 재앙을 낳는 이유 👀 문샷 - 극한상황에서 더 크게 도약하는 로켓과학자의 9가지 생각법 로켓과학자는 현실 세계와는 동 떨어진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라고 생각을 했다. 성공 확률 0.1%의 극한 상황까지 고려하며 예측할 수 없는 일들까지도 상상하는 역시나도 대단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상상할 수 없는 것도 상상하고, 풀 수 없는 문제를 풀면서 어떤 위기가 와도 혼돈하지 않는 사고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책이다. "확실성을 던지고, 불확실성과 춤춰라!" 어떤 위기에도 재빨리 '방법'을 찾아내는 방법에 대한 내용은 생각보다 기술 PM인 내가 현업에서 마주한 문제와 고민, 걱정 그리고 해결책도 유사한 부분이 많아서 읽으면서 참 공감이 많이 되었다. 로켓 발사를 위한 고민과 실험은 결국 통찰력과 창의력에 대해 읽으며 내 일상에.. 2022. 11. 1. 이전 1 2 3 4 5 6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