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azzlinggeni Study ✨

전체 글63

[빅데이터 분석 기사 ] 빅분기 3회 필기 | 기사 시험 공부 방법 & 책 / 빅분기 3회 필기 시험 후기 / 기출 시험 & 모의고사 문제로 공부하기 빅데이터 분석기사 필기 시험 후기 3회차 필기 시험일은 2021년 10월 2일 토요일, 필기 시험 합격자 발표는 2021년 10월 22일 금요일 그리고 어제, 빅분기 실기를 보기 위한 응시자격 심사도 통과 (정처기 기사 자격증 제출함) 1회 시험은 코로나로 사라지고, 기출이 1번 밖에 없는 시험이다보니 기사 시험 범위도... 공부 방법도 막막했어서 기억할겸 남기는 추천 공부 방법 우선 나는 기본 베이스가 아예 0은 아니었다 컴퓨터공학과 전공 + 약간의 통계 수업 들은 적 있음 + 작년에 정보처리기사 필기, 실기 합격했지만 사실 올해 취업하고 통계 분석이 직무는 아니어서 거의 용어 이름만 알 뿐 내용은 까먹은 상태였다 그래도 우선 용어 자체가 낯설지는 않고 들어보았던 내용이어서 하루 공부 시간을 1시간 반.. 2021. 10. 30.
[책 리뷰] 공간의 미래 : 코로나가 가속화시킨 공간 변화 (유현준/을유문화사) | 공간의 해체와 재구성, 권력의 해체와 재구성 / 익명 기반의 '소셜 믹스' / 전염병은 도시를 해체시킬까 👀 책을 선택한 배경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읽은 후, 어쩌면 스마트폰 IT 기술보다도 매일 내가 있는 공간으로 시선을 돌리면서 '건축', '도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특정 지역, 대한민국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거대하고, 신속한 변화를 갖고 온 코로나19가 가속화시킨 공간의 변화에 궁금증을 갖게 되었다. (아래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리뷰') [📚 책 REVIEW]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을유문화사) [📚 책 REVIEW]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을유문화 👀 책을 선택한 배경 사실 이 책은 2015년에 발간된 무려 6년 전 책이었는데, 알쓸신잡이 핫할 때는 오히려 건축 분야에 관심이 없다가 .. 2021. 10. 22.
[GN] 학습 프레임워크 6단계 :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파악하고 그 갭을 줄이는 과정 | 성장(Growth)은 호기심과 영감에 대해 행 📍 새로운 학습 프레임워크 📚 Growth is a natural byproduct of acting on curiosity and inspiration. 1. Identify & Establish - 백지에 내가 아는 모든 것을 빠르게 적어보기 - 내가 아는 것을 작성하려면, 내가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하고 그 갭을 줄여야함 Paradoxically, starting by writing what you do know is the best way to highlight what you don't know. This first action highlights the gaps in you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topic. 2. Research - Horizontal .. 2021. 10. 7.
[책 리뷰]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을유문화사) | 내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이 공간과 도시의 건축에 대한 고민 👀 책을 선택한 배경 사실 이 책은 2015년에 발간된 무려 6년 전 책이었는데, 알쓸신잡이 핫할 때는 오히려 건축 분야에 관심이 없다가 요즘 건축/도시에 관심을 갖게되서 입문서 느낌으로 읽기 시작했다. 갑자기 왜 '건축' (집, 아파트의 개념이 아니라, 건축이 만들어 내는 공간과 도시에서의 조화 관점에서의 '건축')에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곰곰히 생각해보았는데, 생각보다 답은 심플했다. 바로 'COVID-19'...! 대학생 때는 평일은 물론 주말에도 집에 있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시험기간은 시험 공부한다고 학교 도서관, 스터디 카페 또는 콘센트가 많은 카페를 가고, 시험기간이 아닐 때는 흔히 말하는 핫플을 간다고 '집'이 단순히 '잠을 자는 공간'에 불과하였다. 공부를 하는 공간과 취미 활동을 하는.. 2021. 10. 6.
[잇잇 E.03] 아키텍처 구조 |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 각 아키텍처 별 특징, 장점 및 단점 안녕하세요! 🦄 소소하지만 유익한 정보 ✨샤인테크✨ 입니다!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간호 아키텍트(Architect)와 혼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건축에서 아키텍처는 만들어진 '건축물'이고, 아키텍트는 '건축가' 이다. 즉, CS에서 아키텍처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설계 방식을 의미한다. 처리단위, 기억방법, 데이터 형식 등에 따라서 컴퓨터의 용도 및 처리속도가 달라진다. [잇잇 E.02]에서는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 각 종류별 특징과 장점 및 단점을 참고해주세요. [잇잇 E.02] 아키텍처 구조 | 집약형 분할형 아키텍처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 각 아키텍처 별 특 안녕하세요! 🦄 소소하지만 유익한 정보 ✨샤인테크✨ 입니다! 아키.. 2021. 10. 5.
[잇잇 E.02] 아키텍처 구조 | 집약형 분할형 아키텍처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 각 아키텍처 별 특징, 장점 및 단점 안녕하세요! 🦄 소소하지만 유익한 정보 ✨샤인테크✨ 입니다! 아키텍처(Architecture)를 간호 아키텍트(Architect)와 혼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건축에서 아키텍처는 만들어진 '건축물'이고, 아키텍트는 '건축가' 이다. 즉, CS에서 아키텍처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컴퓨터 시스템 전체의 설계 방식을 의미한다. 처리단위, 기억방법, 데이터 형식 등에 따라서 컴퓨터의 용도 및 처리속도가 달라진다 [잇잇 E.02]에서는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 / 수직 분할형 아키텍처 각 종류별 특징과 장점 및 단점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 / 지리 분할형 아키텍처 [잇잇 E.03]에서 이어서 정리하였습니다. 아래 목차로 시작합니다 :) [ 목 차 ] ✔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 ✔ 수직.. 2021. 10. 4.